원격 저장소 여러곳을 와리가리 하며 작업할 경우 incoming/outgoing, pull/push 할 때 그때그때 적합한 저장소를 지정해줘야 함.
// 예를 들어 아래처럼 저장소 주소를 지정
hg incoming http://SERVER_1 -b BRANCH
hg outgoing http://SERVER_2 -b BRANCH
이게 명령어 넣을 때마다 쓰기가 상당히 귀찮으므로 hgrc 파일에 paths 항목에 alias를 지정가능.
// .hg/hgrc 파일이라 치고 아래처럼 s1, s2 라는 이름으로 각 저장소 주소를 지정
[paths]
default = http://DEFAULT_SERVER
s1 = http://SERVER_1
s2 = http://SERVER_2
// 명령어에서 저 alias 된 이름을 사용
hg incoming s1 -b BRANCH
hg outgoing s2 -b BRANCH
저장소 리스트를 보고 싶으면 hg paths 명령어 이용.
// 전역 ini와 hgrc에 지정된 모든 저장소 리스트 출력
C:\rep> hg paths
default = http://SERVER1/repo
release = http://SERVER1/repo1
qa = http://SERVER2/repo
// -q 옵션을 주면 paths의 NAME 리스트만 출력
C:\rep> hg paths -q
default
release
qa
// NAME을 지정하면 해당 저장소의 URL 출력
c:\rep> hg paths qa
http://SERVER2/repo
'버전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ercurial] shelve - 변경내역 짱박기 (0) | 2014.07.31 |
---|---|
[Mercurial] extdiff를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diff 하기 (extdiff, cmd) (0) | 2014.07.31 |
[Mercurial] 저장소 파일 추가/삭제 (add, remove, addremove, forget) (0) | 2014.07.31 |
[Mercurial] hg annotate (파일의 어느 부분을 누가 언제 작성했는가) (0) | 2014.07.31 |
[Mercurial] hg status - 저장소 상태출력 (0) | 2014.07.31 |